점심을 학생 식당에서 혼자 먹고 저녁도 집에서 탁자 앞에 쪼그리고 앉아 혼자 먹었더니 속이 영 불편했다. 주말에도 멀리 나가지 않은 탓에 활동량이 적어 소화가 안되는 모양이다. 밤 열한시가 넘은 시간이지만 후리스를 걸치고 비니를 쓴 채 플립플랍에 발가락을 끼우고 걸어나왔다.
오전엔 회의가 있었고 논문에 추가할 건 없는지 알아보기 위해 논문 서너개를 살피다가 그 곳에서도 그들만의 리그가 펼쳐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선 덮었다. 문득 연구주제를 너무 광범위하게 잡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인쇄해둔 논문들을 정리해서 버렸다. 다 읽지도 못하리란 걸 잘 알기 때문이다.
스스로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건 어렵다. 서른의 나는 게으른 사람이고 핑계를 만들어 내는 데 천부적인 재능이 있으며 원리를 응용하는 데에 있어서는 더딘 탓에 연구를 깊이 있게 파지 못했다. 이렇게 한 문장으로 정리하기 까지는 4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그래도 몇 가지 장점을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익숙하지 않은 분야도 어느정도 공부한 뒤 타인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고,
공대생 답지않은 디자인 쪽 감각과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에 거부감이 없다. 영어로 작문 하는 것도 테크니컬 라이팅이면 그리 나쁘진 않은 편이다.
다 잘 할 수는 없다.
하나만 잘 하기도 사실 쉽지 않다.
아니 어쩌면 잘 한다는 기준을 높이고 높여서 스스로를 스테이트 오브 아트에 올리는 것이 지금 내가 밟고 있는 과정인지도 모르겠다.
무튼, 얻은 것이 아무것도 없는 시간이 아니었다. 내 장단점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었고 단점을 고쳐나갈 환경이 주어져있다.
조바심이 사우나 문을 열었을 때 얼굴에 덥치는 증기마냥 달려들었던 오늘.
학교 주변을 크게 한 바퀴 돌았더니 트름이 끅끅 나온다.
괜찮다, 괜찮다.

평화로운 주말이다. 그루와 태봉이는 털을 고르고 있고 나는 아이패드로 즐겨찾는 블로그에 올라온 글들을 읽고 있다.
문구에 대한 글을 읽다가 라미 2000 (내 위시 펜) 과 관련된 글을 보았다.
반사적으로 제목을 보자마자 클릭했는데 내용은 황당했다.

자기는 캡으로 된 펜과 스크류로 된 펜을 같이 들고다니지 않는데 새로 영입한 만년필 덕 (스크류 방식의) 에
라미 2000을 들고다니기가 애매해졌다는 것이다.

정말 사소한 것으로 장황하게도 썼다 싶다가, 원래 그렇게 쓰고 싶은 주제로 글을 쓰는 것이
글쓰기의 목적이자 즐거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오히려 나는 글쓰기를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재보다 잿밥에 관심이 많은 요즘이다.
글을 쓸 생각은 하지 않고 글쓰기 좋은 맥 어플이나 키보드, 필기구, 노트 등을 알아보기 일쑤고, 정작 글을 잘 쓰기 위한 훈련은 전혀 하지 않고 있다.

라미 2000을 들고다니기 힘들어 졌다는 그 블로거는 내가 비판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었다.
오히려 보고 배웠어야 할 사람이다.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마음껏 하고싶은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Date:    2014년 4월 10일 오후 4:47
Location:    사근동 106, 성동구,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Weather:    20° Hazy

세미나 준비를 해야함에도 하루키의 책을 한참 읽어내려갔다.
다 읽고 난 뒤 마음 속 어딘가가 간질간질 해서 얼마전에 산 하얀 컨버스로 갈아신은 뒤 운동장으로 향했다.
점심도 맥도날드에서 배달시켜 먹은 터라 좀 걸어야겠다는 생각도 크게 한 몫을 했다.
기온은 따뜻하지만 하늘이 적당히 흐려서 볕이 강하지도 않았고 바람도 선선하게 불었다. 완연한 봄이었다.
짧은 산책이니만큼 한걸음 한걸음 꼭꼭 씹어가며 걸었다.

운동장에서 전력을 다해 축구를 하는 학생들을 보며 걷다가 문득 학교는 그래도 이런 여유를 가질 수 있어 좋다는 생각을 했다.
사분의 일쯤 걸었을 때 문득 이틀 전 전자도서로 대출한 드로잉 책의 내용이 떠올랐다.
잠깐 훑어보느라 몇 페이지 읽었는데, 그림을 그릴 때 마음의 자세에 대한 내용이 있었다.
요지는 그림을 그릴 때 부정적인 피드백을 스스로에게 보내며 그릴 것이 아니라 생산적인 피드백을 보내며 그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비단 드로잉 뿐만이 아니라 연구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연구하는 주제나 상황에 대해 생산적인 대화를 계속해서 스스로에게 던지지 않는다면
그 대학원 생활은 지옥이나 마찬가지가 아닐까.
어떻게든 박사는 딸 수 있다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니까 어떻게 따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박사과정은 비단 연구나 프로젝트만을 일컫는 것은 아니지 않을까.
이런 과정을 겪어보는 것 자체도 박사과정을 하는 동안 거쳐야만 하는 관문이 아닐까 한다.
그러니 잘 이겨내보자 했다.

운동장을 다 돌아갈 때 즈음,
책을 읽고 간질간질했던 마음이 무엇인지 알았다.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는 괜찮다 괜찮다 하고 잔잔하게 나를 위로해 주었다.
‘순례의 해’라는 좋은 음악과 함께.


어제 지인들과 회식 자리가 있었다.
다양한 주제들로 이런 저런 얘기를 하다가 글쓰기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평소에 글 깨나 쓰는 것 같았던 친구에게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느냐 물었다.

친구가 대답해 주는 얘기를 듣고 조금 놀랐다.
글 잘 쓰는 방법에 관한 주제로 읽었던 여러 글들과 공통된 방법을 했기 때문이다.

첫째로,
정말 잘 쓴 글을 그대로 베껴써볼 것.
이건 유시민 아저씨의 글을 잘쓰는 방법에서 본 것과 같은 내용이었다.
아마 박경철 아저씨의 ‘자기혁명’ 이라는 책에서도 본 것 같다.
베껴쓰다 보면 그 사람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는 이치랄까.

둘째로,
자신이 쓴 글을 시간 간격을 두고 차후 다시 읽어볼 것.
어제의 일기도 손발이 오그라들고 ‘왜 이따구로 썼지?’ 하며 읽기가 힘든데,
작심하고 쓴 글을 다시 읽기란 쉽지 않을 것 같다.
무튼, 요지 (혹은 원리) 는 보통 읽기 능력이 쓰기 능력보다 우수하다는 것.
그래서 쓰는 수준 보다는 읽는 ‘눈’이 더 높은 것이니
얼마든지 스스로의 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리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친구의 이런 이야기들을 듣고 나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이미 다른 매체들을 통해서 숱하게 접해왔던 방법들이었다.

왜 써 놓은 글들이 이 모양인지 되돌아 보니 이유는 뻔했다.
실천의 문제

그림도, 글도, 코딩도, 논문 작성도 결국은 모두 실천의 문제.

나는 조금이라도 줄을 치거나 써내려갈 일이 있을 때 책상 위에 만년필과 연필을 꺼내어 둔다.
허세 때문도 아니고, 많은 사람들이 얘기하는 ‘아날로그’에 대한 향수는 더더욱 아니다.
과거에 써본 적도 없는 만년필에 무슨 향수가 있겠는가. 연필은 오히려 벗어나고 싶어 안달이 났던 필기구였다. 친구들의 제도 샤프들이 어찌나 멋있어보이던지.

학용품의 쓰임 자체가 줄어든 지금에도 굳이 이 필기구들에 욕심을 내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바로 이 필기구들이 가지고 있는 ‘매력’ 때문이다.
만년필의 경우 손에 힘을 빼고 손목만을 이용해 글씨를 써내려 갈 때 - 이것이 올바른 만년필의 사용법인데 ‘별에서 온 그대’의 도민준씨는 (비싼) 만년필을 꾹꾹 눌러 써서 많은 만년필 애호가들이 기겁을 했다고 - 의 느낌은 써 본 사람만이 알 수 있다.

그 느낌을 조금이나마 체감할 수 있는 영상을 얼마전에 ‘문방삼우’ 카페에서 보게 되어 여기에 링크를 남긴다.

연필의 경우에는 사실 손 그림을 그릴 때 쓰기 시작했다가 사각거리는 소리에 빠져
아이디어 스케치 및 책에 밑줄 긋기, 메모 등에 사용하고 있다.
예전에는 심이 뭉툭해지는 것이 그렇게도 싫어서 샤프를 찾았는데, 이제는 연필로 그을 수 있는 일정하지 않은 선이 너무 좋은 거다.

일전에 연필에 대해 검색을 하다가 블로그에서 적혀있던 글이 연필의 매력을 잘 설명해준다.

연필을 쓰면 그 날 얼마나 노력했는지 눈으로 볼 수 있다.

아마 이런 매력들이 요즘 이 필기구들을 문구 덕후들(나를 포함해서)이 찾는 이유가 아닐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