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2014년 4월 10일 오후 4:47
Location:    사근동 106, 성동구,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Weather:    20° Hazy

세미나 준비를 해야함에도 하루키의 책을 한참 읽어내려갔다.
다 읽고 난 뒤 마음 속 어딘가가 간질간질 해서 얼마전에 산 하얀 컨버스로 갈아신은 뒤 운동장으로 향했다.
점심도 맥도날드에서 배달시켜 먹은 터라 좀 걸어야겠다는 생각도 크게 한 몫을 했다.
기온은 따뜻하지만 하늘이 적당히 흐려서 볕이 강하지도 않았고 바람도 선선하게 불었다. 완연한 봄이었다.
짧은 산책이니만큼 한걸음 한걸음 꼭꼭 씹어가며 걸었다.

운동장에서 전력을 다해 축구를 하는 학생들을 보며 걷다가 문득 학교는 그래도 이런 여유를 가질 수 있어 좋다는 생각을 했다.
사분의 일쯤 걸었을 때 문득 이틀 전 전자도서로 대출한 드로잉 책의 내용이 떠올랐다.
잠깐 훑어보느라 몇 페이지 읽었는데, 그림을 그릴 때 마음의 자세에 대한 내용이 있었다.
요지는 그림을 그릴 때 부정적인 피드백을 스스로에게 보내며 그릴 것이 아니라 생산적인 피드백을 보내며 그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비단 드로잉 뿐만이 아니라 연구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연구하는 주제나 상황에 대해 생산적인 대화를 계속해서 스스로에게 던지지 않는다면
그 대학원 생활은 지옥이나 마찬가지가 아닐까.
어떻게든 박사는 딸 수 있다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니까 어떻게 따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박사과정은 비단 연구나 프로젝트만을 일컫는 것은 아니지 않을까.
이런 과정을 겪어보는 것 자체도 박사과정을 하는 동안 거쳐야만 하는 관문이 아닐까 한다.
그러니 잘 이겨내보자 했다.

운동장을 다 돌아갈 때 즈음,
책을 읽고 간질간질했던 마음이 무엇인지 알았다.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는 괜찮다 괜찮다 하고 잔잔하게 나를 위로해 주었다.
‘순례의 해’라는 좋은 음악과 함께.


어제 지인들과 회식 자리가 있었다.
다양한 주제들로 이런 저런 얘기를 하다가 글쓰기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평소에 글 깨나 쓰는 것 같았던 친구에게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느냐 물었다.

친구가 대답해 주는 얘기를 듣고 조금 놀랐다.
글 잘 쓰는 방법에 관한 주제로 읽었던 여러 글들과 공통된 방법을 했기 때문이다.

첫째로,
정말 잘 쓴 글을 그대로 베껴써볼 것.
이건 유시민 아저씨의 글을 잘쓰는 방법에서 본 것과 같은 내용이었다.
아마 박경철 아저씨의 ‘자기혁명’ 이라는 책에서도 본 것 같다.
베껴쓰다 보면 그 사람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는 이치랄까.

둘째로,
자신이 쓴 글을 시간 간격을 두고 차후 다시 읽어볼 것.
어제의 일기도 손발이 오그라들고 ‘왜 이따구로 썼지?’ 하며 읽기가 힘든데,
작심하고 쓴 글을 다시 읽기란 쉽지 않을 것 같다.
무튼, 요지 (혹은 원리) 는 보통 읽기 능력이 쓰기 능력보다 우수하다는 것.
그래서 쓰는 수준 보다는 읽는 ‘눈’이 더 높은 것이니
얼마든지 스스로의 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리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친구의 이런 이야기들을 듣고 나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이미 다른 매체들을 통해서 숱하게 접해왔던 방법들이었다.

왜 써 놓은 글들이 이 모양인지 되돌아 보니 이유는 뻔했다.
실천의 문제

그림도, 글도, 코딩도, 논문 작성도 결국은 모두 실천의 문제.

그림을 넣을 때마다 은은한 그림자를 넣기 위해
파워포인트에다가 그림을 불러와서 그림자 효과를 준 다음 png 파일로 변경해서 저장하는 뻘짓을 반복했었는데,

기왕 css 를 건드린 김에 관련된 태그가 없는지 찾아보았더니 떡하니 있었다.

tistory에서는 해당 부분을 style.css 파일의 해당 부분에 지정해주면 된다.

/* 그림 */
    .imageblock{
    -webkit-box-shadow: 3px 3px 10px #7C7C7C;
    box-shadow: 3px 3px 10px #7C7C7C;
    }

여기서

box-shdow: 3px 3px 10px

의 의미는 그림자의 x축, y축 으로 떨어진 양과 blur 하는 만큼양을 나타낸다. 나는 쨍한 그림자 보다는 부드러운 그림자를 원했으므로 blur 수치를 10px 로 넉넉하게 주었다.

그냥 img 태그의 스타일을 수정해 버리면 블로그에 들어가는 모든 이미지들에 그림자가 생겨서 이상해지니 명심할 것.
그리고 entry태그 안에 있는 img 에만 적용시키려 하더라도,
메인 이미지 외의 다른 이미지들이 모두 그림자가 적용된다. 예를 들면,
티스토리 블로그 내의 저작권 관련 이미지라거나 책/영화 같은 메타정보를 불러왔을 때의 이미지까지 말이다.

무튼 그래서 저기 위에 블로그 스킨에 그림이라고 친절하게 명시되어 있는 부분만 스타일을 적용해 주었더니 한결 좋다.

이제 뻘짓이 줄었구나.

예전에 작업해서 올린 그림들에 이중 그림자가 생긴 건 함정.

엄청 heavy하게 markdown language 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 기능 저 기능을 쓰면서 블로그에 올릴 글들을 먼저 적는 편이다.

그런데 인용구 (blockquote) 부분이 마음에 안드는 거다.
생각보다 자주 쓰는데 말이다.

그래서 CSS blockquote 를 구글에 검색해서 마음에 드는 놈으로 적용시켰다.

역시 구글이 사수.

Tistory의 style.css 파일에서 인용구와 관련된 부분을 찾아 바꾸어 주었다.

사용된 css 코드는 아래와 같다.

/* 본문 - 인용구 */
.entry blockquote {
  width: 90%;
  font-weight: bold;
  background: #D8D8D8;
  border-left: 10px solid #FF8224;
  border-right: 10px solid #FF8224;
  margin: 1.5em 10px;
  padding: 0.5em 10px;
  quotes: "\201C""\201D""\2018""\2019";
}

.entry blockquote:before {
  color: #FF8224;
  content: open-quote;
  font-size: 4em;
  line-height: 0.1em;
  vertical-align: -0.4em;
}

.entry blockquote p {
  display: inline;
}

적용 모습은 이렇다.



색이며 글꼴이며 마음에 들어서 한동안 이 걸로 쓰지 않을까 싶다.


루드비코의 만화-영화,
큐브릭,
누군가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

이런 이유들로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가 한 번 쯤은 보고 싶었는데
이런 식으로 보고 싶고 읽고 싶은 것들이 어디 내게 한 두 개 라야지.

어쨌든, 영화를 구해 두고는 미루고 미루고 또 미루다가 주말에 재생했다.
맞는 자막을 구하지 못해 자막 싱크 조절과 씨름을 하며 보긴 했지만,
첫 장면부터 너무 강렬해서, 계속 볼 수 밖에 없었다.
아니, 첫 장면은 커녕, 배급사 및 감독 소개하는 크레딧이라고 하나 여튼 그거부터.
(새 빨간 배경으로 시작해서 영화 파일에 문제가 있는 줄 알았다.)
주인공인 알렉스가 오른쪽 눈에 속눈썹을 아래로 향하게 눈 아래에다 붙인 채 기묘한 표정으로 기묘한 곳 앉아있다.

줄거리는 커녕 장르도 모르고 보기 시작해서 그런진 몰라도 더 신기했던 것 같다.
영화를 보고 나서 야릇한 기분에 이런 저런 리뷰들도 찾아봤는데, 역시 그냥 내가 느낀게 더 중요하지.
예술 작품은 만든 이의 손을 떠나면 더이상 그의 것이 아니라지 않는가.

무튼, 간단히 얘기하면 인간의 본성은 바꿀 수 없다는 것.
원작과는 다른 결론이라 원작자가 많이 마음에 안들어 했다고도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영화가 더 마음에 든다.

1971년에 상상해낸 2001년 (레코드 가게에 놀러가는 장면에 그렇게 적혀있었던 것 같다.)의 모습은
생각보다 촌스럽지 않으면서도 (일부러 그렇게 촌스럽게 한 것 같기도 하고)
지금의 모습들을 반영하고 있기도 하는데 비교해보면서 영화를 보는 재미도 있었다.

사람의 본성에 대해서 한 번쯤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재미있는 영화였다.
스탠리 큐브릭의 다른 작품들이 궁금해졌다.

ps. 예쁘장하게 생긴 주인공 필모그래피를 찾아봤더니 멘탈리스트에 나오는 사이비 교주! 으아니!

+ Recent posts